황설중, 「퓌론주의와 근세의 회의주의」를 읽은 뒤, Popkin, 『The History of Scepticism』에 담긴 「Michel de Montaigne and the Nouveaux Pyrrhoniens」를 읽고 번역하는 공부 모임이 다음 주 화요일에 시작하여 중간에 쉬는 회차 없이 8월 21일까지 5회 진행됩니다.
폽킨의 논문은 <레이몽 스봉에 대한 변호>라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몽테뉴가 고대 회의주의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로써 근대 초기의 신앙주의가 가진 의미를 이해하게 됩니다. 근대 초기 철학의 성립에 고대 회의주의가 미친 영향력을 논하는 훌륭한 텍스트입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께서는 아래 원고를 번역하여 메일(philo.electro.ray@gmail)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기존의 참여자가 있는 까닭에 두 분만 추가 참여가 가능하다는 데 양해를 구합니다. 장소는 마포구 상수동에 있는 운영자의 집이며, 중간 결석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
Montaigne raised his second group of sceptical arguments, which comprise a description and a defense of Pyrrhonism with an explanation of its value for religion. Pyrrhonism is first distinguished from the negative dogmatism of Academic scepticism: The Pyrrhonists doubt and suspend judgment on all propositions, even that all is doubt. They oppose any assertion whatsoever, and their opposition, if successful, shows the opponent’s ignorance; if unsuccessful, their own ignorance. In this state of complete doubt, the Pyrrhonists live according to nature and custom. This attitude Montaigne found to be both the finest of human achievements and the most compatible with religion.